제주특별자치도가 증가하는 단체관광 수요에 대응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단체관광 인센티브 정책을 전면 개편한다. 이번 개편은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고, 제주 방문 관광객이 체류하는 순간부터 지역 소비로 이어지는 구조를 정착시키겠다는 구체적인 전략을 담고 있다.
이번 정책 변화는 지난 3월 시행된 단체 인센티브 지원 이후 수요자들로부터 받은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추진됐다. 특히, 사후정산 중심의 기존 방식이 지닌 절차적 번거로움과 소비 연계 미흡 문제를 해결하고, 제주 도착 즉시 혜택을 실감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핵심은 지역화폐 ‘탐나는전’을 이용한 현장 지급 방식이다.
이제는 관광객이 제주공항에 도착해 항공권을 제시하면, 확인 절차를 거쳐 탐나는전을 즉시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단체 관광객이 제주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제주 지역 상점이나 음식점 등에서 실질적인 소비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여행객 입장에서는 도착과 동시에 체감할 수 있는 혜택으로 만족도를 높이게 된다. 단순히 숙박과 관광을 넘어, 지역 내 상권과의 연결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지원 대상도 대폭 확대된다. 기존에는 여행사 모객 일반단체, 수학여행, 뱃길단체, 협약‧자매결연 단체, 동창회‧동문회 등으로 한정돼 있었으나, 이번 개편을 통해 동호회나 스포츠 단체, 기타 사적 모임 등 다양한 유형의 단체까지 포함됐다. 다만, 이미 보조금을 받은 전국 단위 행사 참가자나 동일 행사에 대해 중복 지원을 신청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이는 정책의 실효성과 공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 풀이된다.
제주도 김희찬 관광교류국장은 “관광은 단순히 머물다 가는 개념이 아니라, 지역 가게에 들어가 소비가 이뤄지는 순간 지역경제가 살아난다”며 “이번 인센티브 개편은 단체관광 수요를 지역경제로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시도”라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도 다양한 수요자의 의견을 반영해 정책을 유연하게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단체관광 인센티브에 대한 현장의 반응은 이미 뜨겁다. 제주도에 따르면 6월 5일 기준, 총 509건에 3만 67명이 인센티브 지원을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개편 내용이 공식적으로 공고되면 더 많은 단체 관광객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에 와서 머물고, 제주를 쓰고 가는 여행’을 목표로 한 이번 단체관광 인센티브 개편은 관광 정책이 단순한 유치 전략을 넘어 지역경제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모델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주도는 향후에도 관광 수요와 지역 소비를 연계하는 다양한 방안을 통해,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