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들어 7월까지 크루즈를 타고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46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적인 회복세를 넘어 성장세로 전환된 크루즈 관광의 흐름을 보여준다.
제주의 크루즈 관광은 2023년 입항 재개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제주도는 아시아 크루즈 허브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총 12차례에 걸쳐 제주국제크루즈포럼을 개최하는 등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와 함께 다채로운 기항 프로그램도 운영되며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체류 유인을 강화해온 점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제주도는 단순 기항지 역할에서 벗어나 체류형 관광으로의 전환을 위해 지난 5월부터 ‘준모항’ 운영을 본격화했다. 준모항은 크루즈 승객이 제주에서 직접 승·하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관광객의 체류 시간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있다. 그 결과 숙박, 음식, 쇼핑, 교통 등 다양한 소비 활동이 함께 이뤄지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8월 현재까지 강정항에서 출발하는 준모항 크루즈는 총 12회 운항됐으며, 1,461명의 승객이 제주에서 승선해 해외로 향했다. 이는 단순 관광지를 넘어 제주가 크루즈의 출발점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로 평가된다.
제주도는 준모항 확대에 따른 관광객 증가에 대응해 수용태세 강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선 강정항에서 선박과 터미널 간 거리가 먼 점을 고려해 노약자나 어린이 등 이동 취약 계층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다목적 전동 셔틀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승객의 수화물 운반에도 이 셔틀카가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출입국 과정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슬로프형 수화물 검사대를 설치할 계획이며, 승객 혼잡도를 줄이고 입출국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인프라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크루즈 터미널 내 흡연 부스도 새로 설치해 반복적으로 지적돼온 불편 사항 개선에도 나선다.
제주특별자치도 오상필 해양수산국장은 “준모항 운영을 통해 크루즈 관광이 기항 중심에서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되면서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올해 목표인 80만 명 유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인프라 개선과 함께 차별화된 기항 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는 2023년 10만 명, 2024년 64만 명의 크루즈 관광객을 유치한 데 이어, 올해는 80만 명의 관광객이 크루즈를 통해 제주항과 강정항을 찾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크루즈 관광이 제주의 새로운 핵심 관광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