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축제/행사/지역뉴스 검색결과
-
-
주영한국문화원, 신진 한인 예술가 위한 ‘뉴 탤런츠’ 프로젝트 하반기 프로그램 진행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이 하반기 차세대 예술가 프로젝트 ‘뉴 탤런츠(New Talents)’를 통해 영국 내 신진 한인 예술가들에게 무대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왕립음악학교 협력 공연과 함께 공개 공모를 통해 선발된 아티스트들의 다채로운 공연으로 꾸려지며, 젊은 예술가들의 새로운 도전을 응원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선승혜 원장은 “차세대 예술가들에게 무대를 열어주는 것은 한국 문화의 미래를 여는 일”이라며 “‘뉴 탤런츠’ 프로젝트가 영국 무대에서 젊은 아티스트들이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프로그램은 시각예술부터 국악, 클래식 음악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장르를 아우른다. 9월 4일에는 현대미술 아티스트 송인혜가 ‘캔버스 백 워크숍’을 열어 참가자들이 개인의 기억과 주변 환경, 자연과의 감정적 연결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어 9월 25일에는 왕립음악학교(Royal College of Music)와 협력해 열리는 리사이틀 무대가 준비돼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박미현(에스더 박)과 첼리스트 월리스 파워(Wallis Power)가 ‘인터플레이-현과의 대화(Interplay-A Dialogue in Strings)’를 주제로 음악적 협력과 문화적 대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선보인다. 10월에는 한국 전통음악과 현대 클래식이 어우러지는 무대가 마련된다. 10월 3일에는 가야금 연주자 박서영이 최옥삼류 짧은 산조와 황병기의 ‘침향무’, 그리고 영국 작곡가가 만든 국악곡을 연주해 한국과 영국 음악의 교차점을 보여준다. 10월 23일에는 피아니스트 김환희가 ‘한국적 정서를 담은 피아노 음악: 김국진 작품의 재조명’을 주제로 공연을 펼치며, 한국 현대 피아노 음악의 정체성과 서양 클래식 음악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주영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뉴 탤런츠’ 프로젝트를 통해 영국 현지 관객들에게 신진 한인 예술가들을 꾸준히 소개하고, 차세대 아티스트들이 성장할 수 있는 무대를 제공할 계획이다. 자세한 일정과 정보는 문화원 공식 홈페이지(www.kccuk.org.uk)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축제/행사/지역뉴스
- 종합
-
주영한국문화원, 신진 한인 예술가 위한 ‘뉴 탤런츠’ 프로젝트 하반기 프로그램 진행
-
-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서 빛난 한국문학… 황석영 작가 ‘분단국가의 목소리’로 세계 독자와 교감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K-북 해외 홍보·교류 사업의 일환으로 영국을 대표하는 문학 축제인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Edinburgh International Book Festival)’와 첫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한국문학의 깊이와 확장 가능성을 알리는 특별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선승혜 원장은 “유네스코 문학 도시 에든버러, 세계 문호의 고향 스코틀랜드에서 한국 문학을 전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오늘의 한국문학은 시대를 살아낸 이들의 이야기를 담아 국경을 넘어 세계와 공감하고 있으며, 앞으로 K-문학은 21세기의 새로운 서사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현장 소감을 전했다. 축제 참여에 앞서 황석영 작가는 8월 18일 에든버러 대학교 스코틀랜드 한국학 센터(Scottish Centre for Korean Studies)에서 교수진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라운드 테이블 대담에 참석했다. 안지은 박사의 사회와 박소연 강사의 통역으로 진행된 자리에서는 한국학·사회학·정치외교학 전공자들과 함께 근대 리얼리즘 문학의 의미, 한국문학 번역과 세계화, 디지털 시대 서사의 변화에 대해 폭넓은 논의가 이어졌다. 황 작가는 “한국인들은 사연이 많고 이제는 그것을 하나둘 털어놓기 시작했다. 그 이야기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라며 이야기의 힘을 강조했다. 이어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을 사례로, 웹소설부터 미디어 콘텐츠까지 한국인의 역사와 정서가 반영된 이야기들이 글로벌 콘텐츠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연미 에든버러대 한국학 소장은 “황석영 작가와의 대화에서 근대의 극복과 수용, 그리고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 비전까지 논의할 수 있었다”며 이번 만남의 의미를 전했다. 이튿날인 8월 19일, 황 작가는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 본 행사 ‘황석영: 분단국가의 목소리(Hwang Sok-yong: The Voice of a Divided Nation)’ 세션에서 제니 니븐(Jenny Niven) 디렉터와 대담을 가졌다. 대담은 지난해 인터내셔널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오른 『철도원 삼대(Mater 2-10)』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한국 현대사의 격동을 비춘 리얼리즘 서사를 통해 문학이 정치와 역사의 교차점에서 사회적 발언이 될 수 있음을 심도 있게 다뤘다. 황 작가는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의 올해 주제 ‘repair(회복)’에 대한 질문에 “삶을 돌아보게 하는 단어”라고 답하며, 균열 난 현실을 성찰하면서도 회복과 재생을 모색하는 신작을 올해 선보일 예정임을 밝혔다. 그의 발언은 관객들에게 문학이 지닌 치유와 사유의 힘을 다시금 일깨워 주었다. 현장을 찾은 다양한 배경의 관객들은 한국문학의 서사적 깊이와 시대적 울림에 큰 감명을 받았으며, 문학이 사회와 세계를 바라보는 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참여는 한국문학이 세계 문학 축제의 주요 무대에서 지속적인 존재감과 문화적 영향력을 확장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꼽힌다. 주영한국문화원은 앞으로도 문학을 매개로 국제 교류의 장을 넓히고, 동시대적 감수성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
- 축제/행사/지역뉴스
- 종합
-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서 빛난 한국문학… 황석영 작가 ‘분단국가의 목소리’로 세계 독자와 교감
-
-
한국 웹소설, 세계 독서 혁명 이끄는 핵심 장르로 주목…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서 한국문학 존재감 빛났다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은 8월 12일 영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문학 축제인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Edinburgh International Book Festival)’에 공식 국제 파트너로 참여해 한국 웹소설의 세계적 가능성을 알렸다. 선승혜 원장은 국제 산업의 날 행사 ‘글로벌 잉크(Global Ink)’의 패널 토론 세션 ‘디지털로 태어나다 – 웹소설과 국제 독서 혁명(Born Digital – Web Novels and the Global Reading Revolution)’에 연사로 나서 한국 웹소설의 특징과 세계 확산 가능성을 발표했다. 선 원장은 발표에서 “K-세계관을 담은 웹소설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전 세계 콘텐츠 산업을 이끄는 핵심 장르로 부상하고 있다”며, 개방적 창작 구조와 장르 융합, 팬덤과의 교감, 타문화와의 교류, 새로운 기술의 빠른 적용력이 한국 웹소설이 가진 세계적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플랫폼 중심 시장 구조, 저자·독자의 유동성, 댓글을 통한 상호작용형 스토리텔링, 웹툰·드라마·게임 등으로의 확장성을 한국 웹소설의 6대 특징으로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토론은 앨러스터 혼(스털링대 출판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중국 북경 국제도서전 대표 비키 웨이(Vicky Wei)와 함께 웹소설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했다. 혼 교수는 “웹소설은 전통 출판사에서 다루지 않던 젊은 세대의 감성과 관심사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며 새로운 서사 세계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선 원장은 한국 웹소설의 주류 장르가 로맨스·로판(로맨스 판타지)·판타지·현판(현대 판타지)·역사 판타지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고 설명했고, 중국 측은 일상과 밀접한 로맨스·역사물이 주를 이룬다고 덧붙였다. 참가자들은 웹소설의 크로스미디어 확장성에도 주목했다. 한국에서는 인기 웹소설이 출판을 넘어 웹툰, 드라마, 게임,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로까지 이어지며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고 있고, 중국은 도서전과 숏폼 드라마 제작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시장을 키워가고 있다. 영어권 업계 관계자들도 3년 내 급성장이 예상되는 자국 웹소설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모델을 적극 참고하고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발표는 한국 웹소설이 가진 실험성과 확장성을 세계 문학계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 문학이 국제 무대에서 지속적인 존재감을 넓혀가는 과정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선승혜 원장은 “웹소설은 전 세계 독자들과 감각적으로 연결되는 가장 혁신적인 한국의 문화 장르”라며 “앞으로도 한국 문학이 지닌 동시대성과 독창성을 국제 무대와 꾸준히 교류하며 글로벌 문화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는 매년 600여 명의 작가와 학자가 참여해 700여 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세계적 문학 축제로, 올해는 8월 9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다. 에든버러가 유네스코 문학 도시로 지정된 만큼 이번 참여는 한국 문학이 국제적 문화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와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
-
- 축제/행사/지역뉴스
- 종합
-
한국 웹소설, 세계 독서 혁명 이끄는 핵심 장르로 주목…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서 한국문학 존재감 빛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