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 이하 문화원)은 지난 7월 12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열린 ‘한국의 날(Korea Day)’ 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세계적 학문기관인 케임브리지대학교 도서관과의 협력으로 이뤄졌으며, 오전과 오후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케임브리지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한국 관련 대규모 행사라는 점에서 현지의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사전 신청이 조기 마감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선승혜 문화원장은 개막 인사에서 “세계적인 지식의 요람,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한국의 날’을 처음 개최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지식과 기록의 공간인 도서관과의 협업을 통해 한국 문화의 보편성과 독자성을 재조명하고, 그 가치를 세계와 함께 나눌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됐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행사를 가능하게 만든 케임브리지대학교 도서관 측에 깊은 감사를 표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도서관의 세계 컬렉션 부장이자 행사 공동 주최자인 알레산드로 비앙키 박사(Dr. Alessandro Bianchi)는 “케임브리지 도서관에서 처음으로 한국을 주제로 한 행사를 개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도서관이 보유한 한국 관련 소장자료들을 일반 시민과 공유하고, 한국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장이 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축제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지식과 감성, 전통과 기술을 아우르는 입체적 한국문화 체험의 장으로 꾸며졌다.
행사 첫 순서로 선승혜 원장은 기조 강연을 통해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지 ‘경주’와 신라 문화의 세계사적 가치를 소개했다. 그는 신라 금관, 석굴암 등 국보급 유산을 중심으로, 인공지능(AI)과의 대화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며 해석을 확장하는 ‘AI와 인간의 공진화(co-evolution)’ 방식의 문화유산 체험 가능성을 제안했다. “21세기 과학기술의 급변 속에서 한국 미학이 디지털로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의 미래지향적 해석을 제시해 호평을 받았다.
이어서 열린 북토크 세션에서는 2024년 톨스토이 문학상 수상자인 김주혜 작가가 『밤새들의 도시』, 『작은 땅의 야수들』 등 대표작의 집필 배경과 창작 과정, 그리고 문학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철학을 관객들과 진솔하게 나누며 큰 공감을 얻었다.
체험 중심의 문화 프로그램도 눈길을 끌었다. 문화원이 운영하는 **‘찾아가는 VR 문화유산 K-Art Lab’**에서는 한국의 대표 유물 반가사유상과 석굴암을 실감형 VR 콘텐츠로 구현한 <한 개의 달, 천 개의 강>, <하나는 모두, 모두는 하나> 등을 선보였다. 참가자들은 몰입형 콘텐츠를 통해 전통문화 감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직접 경험하며, 디지털 기술이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에 감탄을 표했다.
또한 한글 서예 워크숍은 서예가 이길찬이 지도해 참가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직접 한글로 써보는 체험을 통해 한국 문자의 아름다움과 철학을 체감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 자수 워크숍은 전통 자수 전문가 **조희화(Heehwa Jo)**가 진행했으며, 한국 전통공예의 섬세함과 장인정신을 소개해 현지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특히 케임브리지대학교 도서관 측에서는 한국 관련 소장자료를 팝업 전시로 공개해, 지식기관으로서의 전문성과 문화적 깊이를 더했다. 전시에는 도서관 일본 한국 부서장인 지연 우드 씨가 참여해 한국 커뮤니티와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데도 의미를 더했다.
문화원은 이번 케임브리지 행사를 시작으로 영국 주요 거점 도시인 런던, 에든버러, 맨체스터 등지로 ‘한국의 날’ 축제를 확대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한류 콘텐츠, 문화예술, 창의 산업 등 다양한 한국 문화의 스펙트럼을 세계와 연결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방침이다.
‘케임브리지 한국의 날’은 단순한 국가 홍보를 넘어, 한국의 문화와 정신, 기술과 미래비전을 세계적 학문공동체와 시민들에게 전한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