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은 8월 12일 영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문학 축제인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Edinburgh International Book Festival)’에 공식 국제 파트너로 참여해 한국 웹소설의 세계적 가능성을 알렸다. 선승혜 원장은 국제 산업의 날 행사 ‘글로벌 잉크(Global Ink)’의 패널 토론 세션 ‘디지털로 태어나다 – 웹소설과 국제 독서 혁명(Born Digital – Web Novels and the Global Reading Revolution)’에 연사로 나서 한국 웹소설의 특징과 세계 확산 가능성을 발표했다.
선 원장은 발표에서 “K-세계관을 담은 웹소설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전 세계 콘텐츠 산업을 이끄는 핵심 장르로 부상하고 있다”며, 개방적 창작 구조와 장르 융합, 팬덤과의 교감, 타문화와의 교류, 새로운 기술의 빠른 적용력이 한국 웹소설이 가진 세계적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플랫폼 중심 시장 구조, 저자·독자의 유동성, 댓글을 통한 상호작용형 스토리텔링, 웹툰·드라마·게임 등으로의 확장성을 한국 웹소설의 6대 특징으로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토론은 앨러스터 혼(스털링대 출판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중국 북경 국제도서전 대표 비키 웨이(Vicky Wei)와 함께 웹소설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했다. 혼 교수는 “웹소설은 전통 출판사에서 다루지 않던 젊은 세대의 감성과 관심사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며 새로운 서사 세계를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선 원장은 한국 웹소설의 주류 장르가 로맨스·로판(로맨스 판타지)·판타지·현판(현대 판타지)·역사 판타지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고 설명했고, 중국 측은 일상과 밀접한 로맨스·역사물이 주를 이룬다고 덧붙였다.
참가자들은 웹소설의 크로스미디어 확장성에도 주목했다. 한국에서는 인기 웹소설이 출판을 넘어 웹툰, 드라마, 게임,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로까지 이어지며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고 있고, 중국은 도서전과 숏폼 드라마 제작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시장을 키워가고 있다. 영어권 업계 관계자들도 3년 내 급성장이 예상되는 자국 웹소설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모델을 적극 참고하고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발표는 한국 웹소설이 가진 실험성과 확장성을 세계 문학계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 문학이 국제 무대에서 지속적인 존재감을 넓혀가는 과정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선승혜 원장은 “웹소설은 전 세계 독자들과 감각적으로 연결되는 가장 혁신적인 한국의 문화 장르”라며 “앞으로도 한국 문학이 지닌 동시대성과 독창성을 국제 무대와 꾸준히 교류하며 글로벌 문화 네트워크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에든버러 국제도서축제는 매년 600여 명의 작가와 학자가 참여해 700여 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세계적 문학 축제로, 올해는 8월 9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다. 에든버러가 유네스코 문학 도시로 지정된 만큼 이번 참여는 한국 문학이 국제적 문화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와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