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가 ‘인천공항 4.0’ 시대의 핵심 전략사업으로 추진 중인 ‘인천공항 항공 AI 혁신허브 개발사업’의 시행자 모집을 시작했다. 항공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는 가운데, 인천공항은 AI 기반 항공산업 혁신의 글로벌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선다.
최근 항공업계는 AI 기술을 활용한 자율 항공관제, 항공기 예지 정비, 수하물 실시간 추적 시스템 등 스마트 운영 기술 도입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공사는 이러한 변화 흐름에 대응해 2024년 3월 ‘디지털 대전환’을 선언한 데 이어, 7월 발표한 ‘비전 2040’에서 AI 혁신허브를 미래 성장의 핵심축으로 설정하고 구체적 추진 전략을 마련해 왔다.
인천공항이 조성할 항공 AI 혁신허브는 △AI 데이터센터 △R&D센터 △비즈니스센터를 중심으로 구축되며, 대규모 GPU 기반 컴퓨팅 자원을 갖춘 데이터센터를 바탕으로 항공·공항 관련 기업이 입주해 AI 솔루션 개발‧실증‧상용화를 한 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원스톱 혁신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인천공항은 AI 인프라 구축에 최적화된 환경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단기간 개발이 가능한 대규모 유휴부지, 최대 40MW 공급이 가능한 독립 전력망, 글로벌 네트워크와 연결된 입지 경쟁력 등은 국내외 기업·대학·스타트업을 끌어들이는 핵심 요인이다. 특히 정부가 국가적 목표로 추진 중인 ‘AI 3대 강국 도약’ 전략과도 맞물려, 인천공항 AI 혁신허브가 세계적 수준의 피지컬 AI 중심지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다는 분석이다.
피지컬 AI는 로봇·자율주행·예지정비·물류 자동화 등 물리적 시스템과 AI가 결합해 현실공간에서 작동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공사는 공항이라는 복합 운영체계를 실시간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기술의 상용화 속도가 빠르게 가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개발사업은 민간투자 방식으로 진행되며, 시행자는 공사로부터 약 23,000㎡(약 7,000평) 규모의 사업부지를 임대해 시설을 구축‧운영할 수 있다. 운영기간은 최장 50년으로, 안정적 전력공급 및 전자파 영향 최소화를 위한 기술 검토도 이미 완료됐다.
참가 자격은 사업 수행 능력을 갖춘 법인(또는 설립 예정 법인)으로, 사업계획서를 12월 22일까지 방문 제출해야 한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인천공항공사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사는 전문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항공 AI 생태계 조성 역량 △AI 컴퓨팅 자원 확보·활용계획 △건설 및 인프라 구축 능력 등을 종합 평가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항공 AI 혁신허브는 인천공항을 단순한 교통시설을 넘어 글로벌 AI 실리콘밸리로 도약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한국의 AI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산업생태계로 성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