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data.seoul.go.kr/SeoulRtd/)을 통해 지난 22년 9월 공개한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에 문화·교통 등 실시간 정보를 추가하고 서비스 제공 장소를 확대하여 6월 21일 개방했다.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는 해당 장소의 인구 혼잡도부터 대중교통 현황, 도로 소통상황, 날씨 등 실시간 정보를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데이터다.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는 누구나 활용 가능하며 지도앱, 인공지능(AI) 스피커, 대중교통 스크린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KT 통신사의 통신 신호를 기반으로 서울 명소의 실시간 인구를 추정한 ‘서울 실시간 인구 데이터’는 추정인구와 함께 혼잡도를 제공하며 인공지능(AI) 기반의 향후 12시간 예측인구를 제공한다.
이번에 개방한 데이터에는 시민의 일상과 관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행사장의 위치와 행사 기간 등 실시간으로 문화행사 정보를 제공하고 전기차 충전소 정보를 통해 충전소 위치와 충전 잔여 대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50곳에서 청와대·광화문광장·노들섬·어린이대공원 등 서울 주요 명소와 서울대입구역·사당역 등 인구 밀집 지역을 포함한 113곳으로 서비스 장소를 대폭 확대했다.
서울시는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를 시민들과 서울을 찾는 내‧외국인 관광객들이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현재 서울 대표 관광홈페이지인 비짓서울(korean.visitseoul.net)에서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 실시간 관광가이드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며 한강공원, 자치구 누리집에서도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공공기관·민간기업‧개발자 등 원하는 누구나 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명령어 묶음(소스코드)인 ‘오픈 API’ 형태로 개방한다.
메타버스‧가상현실 등 기술과 결합해 인구‧교통‧날씨 정보 등을 현실감 있게 전달할 수 있으며 코딩 교육이나 정보통신(IT) 개발자 교육 등에 활용한다면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손쉽게 획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앞으로 민·관 협업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추가로 발굴하여 서비스를 계속해서 확대하고 재난 현장 출동, 인파 관리, 관광안내 등 다양한 분야에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를 적용하여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일 계획이다.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이번에 개방하는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를 통해 관광객은 실시간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서울 명소와 문화행사를 찾아가고 시민에게는 인공지능(AI), 메타버스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된 도시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서울 실시간 도시데이터가 서울시 미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재료로 쓰일 수 있도록 개발자분들의 많은 관심과 활용을 바란다.”라고 밝혔다.
서울시 실시간 도시데이터 주요 명소 113곳
|
구 분 |
주요장소 목록 |
갯 수 |
|
관광특구 |
동대문 관광특구, 잠실 관광특구, 종로·청계 관광특구, 강남 MICE 관광특구, 홍대 관광특구, 명동 관광특구, 이태원 관광특구 |
7 |
|
공 원 |
강서한강공원, 광나루한강공원, 난지한강공원, 여의도한강공원, 잠원한강공원, 양화한강공원, 뚝섬한강공원, 망원한강공원, 반포한강공원, 이촌한강공원, 잠실한강공원, 남산공원, 북서울꿈의숲, 서울숲공원, 월드컵공원, 국립중앙박물관·용산가족공원, 서울대공원, 잠실종합운동장, 고척돔, 광화문광장, 노들섬, 불광천, 서리풀공원·몽마르뜨공원, 서울광장, 아차산, 어린이대공원, 응봉산, 청계산, 청와대 |
29 |
|
고궁&문화유산 |
경복궁, 보신각, 광화문·덕수궁, 창덕궁·종묘 일대, 서울 암사동 유적 |
5 |
|
발달상권 |
가락시장, 4.19카페거리, 광장시장, 김포공항, 덕수궁길·정동길, 방배역 먹자골목, 서촌, 연남동, 외대앞, 용리단길, 이태원 앤틱가구거리, 청담동 명품거리, 청량리 제기동 일대 전통시장, 해방촌·경리단길,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여의도, DMC(디지털미디어단지), 창동 신경제 중심지, 쌍문동 맛집거리, 낙산공원·이화마을, 노량진, 압구정로데오거리, 서울 가로수길, 수유동 먹자골목, 성수동 카페거리, 북촌한옥마을, 인사동·익선동 일대, 영등포 타임스퀘어 |
28 |
|
인구밀집지역 (지하철역 일대) |
서울역, 신도림역, 고속터미널역, 가산디지털단지역, 구로디지털단지역, 강남역, 역삼역, 건대입구역, 신림역, 교대역, 선릉역, 신촌·이대역, 용산역, 연신내역, 왕십리역, 서울식물원·마곡나루역, 오목교역·목동운동장, 총신대입구(이수)역, 홍대입구역(2호선), 고덕역, 구로역, 군자역, 남구로역, 대림역, 동대문역, 뚝섬역, 미아사거리역, 발산역, 북한산우이역, 사당역, 삼각지역, 서울대입구역, 성신여대입구역, 수유역, 신논현역·논현역, 양재역, 이태원역, 장지역, 장한평역, 천호역, 충정로역, 합정역, 혜화역, 회기역 |
44 |
|
합 계 |
11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