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9-12(금)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오는 11월 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인바운드 국제경쟁력 강화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경제포럼(WEF), 한-아세안센터 등 국제기구를 비롯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의 연구기관, 국제 여행 플랫폼 ‘클룩’과 국내 방한 관광 플랫폼 ‘크리에이트립’ 관계자들이 참석하며,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가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장미란 제2차관은 포럼 개회를 선언하고, 한국 관광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모색한다.


문체부는 ‘2023~2024 한국 방문의 해’를 기념해 방한 관광시장의 경쟁력을 점검하고, ‘외래객 2천만 명 시대’를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하는 국제 인바운드 포럼 시리즈를 준비했다. 이번 포럼을 시작으로, 12월 6일에는 중국 단체관광객(유커)과 개별관광객(싼커)을 대상으로 한 ‘중국 인바운드 활성화 포럼’, 12월 9일에는 관광과 관련 산업(식품, 패션 등) 협업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공유하는 ‘한일관광 비즈니스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국제 관광 시장의 회복 추세와 한국 관광의 국제경쟁력을 진단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에바 카처 관광 정책 분석가는 코로나19 이후 국가별로 관광 회복 속도가 다르며,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해외여행 회복이 더딘 점을 제약 조건으로 지적했다. 카처 분석가는 안전하고 원활한 여행 경험 제공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비자 간소화, ▴입국 심사 편의 제공, ▴교통수단 간 환승 편의성 강화, ▴맞춤형 정보 제공이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안드레아스 하더만 항공·여행산업 부서장은 한국의 관광발전지수 데이터를 통해 한국의 국제 경쟁력을 분석했다. 한국은 관광 정책 우선순위, 개방성,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해 불균형이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안희자 관광정책연구실장은 구미주와 중동 지역 등 다양한 국가에서의 방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발표하며, 2030 세대 중심의 체험 관광 수요가 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방한 관광객의 서울 집중 현상을 해결하고 지방 관광 수요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한양대 관광학부 신학승 교수가 아세안 관광객이 한국 방문 시 겪는 입국 절차와 교통 접근성, 결제 시스템 불편 등을 논의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외래객 체류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이 다뤄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구경현 무역투자정책팀장은 전자여행허가제(K-ETA)가 일부 국가의 방한 수요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허가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플랫폼 ‘클룩’의 이준호 한국 지사장은 한국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과 교통 편의성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고, 크리에이트립의 임혜민 대표는 동남아와 중앙아시아 관광객들이 까다로운 입국 절차로 방한을 주저하는 현실을 지적했다.


또한, 방송인 알베르토 몬디는 한국의 독특한 체험 관광 콘텐츠가 매력적이지만, 외국인 관광객이 언어 장벽과 정보 부족으로 접근이 어려운 현실을 전하며 개선 필요성을 제안했다. 문체부 장미란 차관은 한국 관광의 고유한 매력을 알리는 것뿐 아니라 국제적 기준에 맞춘 편의성 제고가 중요하다고 밝히며, 정부 차원에서 외래객이 만족할 수 있는 관광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이번 포럼은 한국 관광의 국제경쟁력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회로, 외래객 2천만 명 시대를 열기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KIN.KR 2025-09-13 16:52:47
태그

전체댓글 0

  • 3754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 관광 국제경쟁력 강화 위해 ‘인바운드 국제경쟁력 강화 포럼’ 개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